과제/심리학

직무중심 접근방식과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정의와 차이점

블로9 2023. 5. 17.
반응형

직무중심 접근방식과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정의와 차이점

직무중심 접근방식(=Task-oriented approach)

직무중심 접근방식은 조직 내에서 어떤 일이 수행되어져야 하는지와 그 일을 수행할 때 필요한 역량과 관련된 사항에 중점을 둔다. 직무중심적인 접근방식은 조직으로 하여금 최적의 업무 레벨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세스, 역할 및 책임, 체계 등을 재설계함에 있어서 핵심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방향성을 제시한다. 이러한 방식에서는 직무와 관련하여 필요한 기술 정보 수집, 개발, 분배 등에 대한 관심이 높다.

사람중심 접근방식(=Person-oriented approach)

사람중심 접근방식은 개인이 무엇이 좋은지, 무엇을 원하는지, 무엇을 기대하는지 등 개인의 상황과 특성을 중심으로 둔다. 이 방식은 조직의 중요한 인적 자원, 즉 종업원에게 초점을 둔다. 이 방식에서는 종업원의 사회관계 및 역할의 지각, 조직문화에 대한 이해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. 이러한 방식에서는 종업원의 개인적인 가치 및 신념을 이해하고, 그들의 성장 및 변화를 장려하며, 조직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보다 만족스러운 근무 환경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추게 된다.

직무중심 접근방식과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차이점

직무중심 접근방식과 사람중심 접근방식의 가장 큰 차이점은 초점의 차이이다. 직무중심 접근방식은 업무와 관련된 데이터 수집, 역할 및 책임 등에 중점을 두고, 사람중심 접근방식은 개인의 상황과 특성을 중심으로 두는 것이다. 또한, 직무중심 접근방식은 조직문화, 프로세스 개선 등과 관련된 사항에 더 큰 노력을 기울이지만, 사람중심 접근방식은 이러한 요소보다는 종업원과의 관계, 성장 및 만족도 등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.

반응형

댓글

💲 추천 글